해당 논문 및 제818회 한은금요강좌 참고
통화정책 파급경로
신고전학파 경로
수요 측면의 요인을 강조하며 대출,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은 모두 완전대체재로 간주하며 금융시장이 완전하기 때문에 기업은 자신의 의도대로 자금조달을 할 수 있다.
금리경로
여기서 중요한 경로는 단기시장금리와 장기시장금리의 연결이지만, 이 경로는 항상 잘 작동하지 않는다. 단기 기대금리의 변화와 유동성 프리미엄(또는 기간프리미엄)의 변화가 따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여기서 가계의 내구재 소비란, 주택 구입 등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이 경로에는 기대인플레이션 혹은 가격의 경직성을 전제로 한다. 실제로는 실질금리의 변화가 실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기 때문이다.
자산가격경로
토빈의 경로
토빈의
부(wealth)의 효과
금리 인하가 자산가격 상승으로 이어지는 고리는 현실에서도 많이 관찰되는데 이는 낮은 금리로 자금을 조달해 자산을 구입하려는 수요가 많아지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이론적으로는 생애주기모형으로도 이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기간간 대체효과
대부분의 경제 모형에서는 이 경로를 이용해 현재소비와 미래소비 간의 관계를 설명하고, 다기간 모형에서 소비의 오일러방정식으로, 이 관계가 표현된다.
환율경로
이 경로에는 유위험/무위험 이자율평가가 적용되고, Dominant Currency Paradigm이 적용해서 생각해야 한다. 그러나 이 경로는 국가의 경제구조와 상황에 따라 상이하게 작동할 수 있다.
비-신고전학파 경로
금융시장은 불완전하다고 간주하고, 특히 자금 공급자와 자금 수요자 사이에는 정보비대칭이 존재한다고 본다. 이 불완전성 때문에 신용할당이 발생하거나, 기업의 투자가 금리보다는 기업 내부의 현금흐름에 더 큰 영향을 받는 현상 등이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이 경로에서는 은행대출과 다른 금융자산은 불완전대체재이다.
신용경로
은행대출경로(Bank Lending Channel)
금리인하시 지준이 늘어나고 이 제약을 받는 은행은 다른 유동성 대신 예금을 통해 자금을 추가조달할 수 있어 대출을 늘리게 되는 경로. 반대로 금리인상시 예금 대신 다른 유동성으로 자금을 추가조달해야하나 그러지 못해 대출을 줄이는 경로. 민간이 자금조달을 은행에 많이 의존할수록 이 경로의 효과는 커진다. 특히 채권을 발행하려 해도 수요가 많이 없는 중소,중견기업같은 경우 이 경로가 더 강하게 작동할 것이며, 주택담보대출이 대부분 은행에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이 경로의 효과가 크다고 한다.
은행자본경로(Bank Capital Channel)
이 경로에서는 은행대출경로보다, 자금의 공급요인을 더 중시한다. 즉, 예를 들면 금리인상시 자산과 부채의 만기불일치로 이자비용이 더 크게 증가해(만기전환비용) 은행의 자본을 감소시키는데 은행은 자기자본규제를 지켜야 하므로 이에 따른 대출 감소가 발생하는 것. 뿐만 아니라 실증분석에서는 이 두 가지 경로(은행대출경로, 은행자본경로)를 구분하는 데에 관심이 있다고 한다.
대차대조표경로(Balance Sheet Channel)
-기준금리 하락 ⇒ 장단기금리 하락 ⇒ 이자상환액 감소⇒ 가처분소득 및 현금흐름 증가 ⇒ 투자 및 소비 증가
이 경로에서 특히 담보가치와 현금흐름(이자상환액)의 변화가 중요하다. 특히 담보가치의 경우 정보비대칭에 따른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이 경로는 버냉키의 “Financial Accelerator Channel”과도 연관이 있다.
기대경로
중앙은행이 미래 통화정책에 대한 기대, 경기전망, 인플레이션 기대를 변화시킴으로써 실물변수에 영향을 미치고자 하는 경로로서, 이 경로가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선 경제주체들의 기대인플레이션이 안정적 또는 중앙은행에 대한 신뢰가 높아야 한다는 대전제가 필요하다.
위험선호경로
이 경로는 통화정책이 금융기관의 위험선호도를 변화시켜 실물경제에 영향을 끼치는 경로이며, 통화정책이 신용의 양과 질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이다. 즉, 자산가격과 담보가치 그리고 이자상환액에 영향을 끼치고 금융기관의 목표수익률 달성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끼침으로써 그들의 행태를 변화시킨다. 한창 저금리일 때 PF대출이 대폭 늘어난 것을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