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2006)에서 발췌


9요소

❶ 목적

어떤 사람이 무언가를 주장할 때는 그 주장을 통해 어떤 필요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목적은 드러내거나 제시하는 것만으로 충분치 않으며, 이 목적이 중요한지, 현실적인지, 실현가능한지, 일관적인지 등을 따져야 한다.

❷ 문제

무언가 해결되어야 하기 때문에 그에 대해 논의하는 것이다.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가 적절하고 명료하게 제시되지 않으면 그 논제의 범위가 명확해지지 않는다.

❸ 개념

어떤 개념을 사용해서 사태를 표현하느냐에 따라 사태에 대한 규정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개념은 그 개념이 포함된 이론이나 원칙, 원리 등의 정당화와도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는다. 논의가 불필요한 맥락으로 번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도 개념을 분명히 하는 것이 필요하다.

❹ 전제

우리들의 사고는 무언가 시작점이 있고, 당연한 것으로 가정하거나 전제하는 원리가 있다. 그 전제하는 바가 정당화될 수 있는지를 따져야 어떤 논제나 주장의 정당성을 제대로 검증할 수 있다.

❺ 정보

어떤 주장에는 근거, 즉 정보가 요구된다. 정보들은 정확해야 하며 그 논제나 논점의 타당성을 강화하는 데 꼭 필요한 자료여야 한다.

❻ 결론

함축이 어떤 논제나 논점, 주장 속에 암묵적으로 내포된 내용이라면 결론은 명시적으로 표현된 내용이다. 그리고 결론은 추론의 결과로 얻어진다. 대개 전제나 정보(자료)가 정당화 근거 작용을 하며 결론이 주장으로 내세워진다. 그러한 결론들이 전제로부터 적절히 이끌어져 나왔는지 또 그러한 결론으로부터 충분히 추론될만한 내용이 주장되고 있는지를 따져봐야 한다.

❼ 관점

모든 사고는 항상 상대적이다. 따라서 어떤 관점에서 제기된 주장이고 정보이고 문제인지 항상 따져봐야 한다. 그렇게 했을 때에만 주장이나 결론의 미흡한 점이 드러난다. 그리고 관점이란 어떤 주장이 만들어지는 특정한 이론적, 논리적인 인과관계로 볼 수도 있다.

❽ 함축

명시적으로 표현하지 않았어도, 표현된 내용 속에 내포되어 있는 의미가 있으며 이를 찾아내는 것이 상대방의 주장을 잘 이해하고 비판하는 데 중요하다.

❾ 맥락

하나의 사고나 판단은 독립적이지 않으며 항상 그것과 연관된 환경이나 상황 속에서 내려진다. 따라서 하나의 판단이 올바른지는 그 판단이 내려진 상황과 연관해서 살펴야 한다.

9기준

❶ 분명함

분명함은 애매성(ambiguity)에 반대되는 말로, 개념이나 명제, 주장, 원리, 규칙이 지닌 의미가 뚜렷한 것을 나타낸다. 분명함은 의미의 동일성이나 차이를 명확히 함으로써 제시될 수도 있다.

❷ 명료함

명료함이란 모호성(vagueness)에 반대되는 개념으로서 다른 가념과 차이가 확실한 것을 나타낸다. 의미를 이해하는 데 있어 필요한 조건이나 기준을 명확하게 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❸ 정확함

어떤 사물이나 사건을 실제에 맞게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즉 어떠한 개념을 말할 때 그 개념이 가진 영역을 확대 혹은 축소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❹ 논리성

논리적으로 주정한다는 것은 하나의 주장이나 논점이 그 자체로서만 올바른 것이 아니라 다른 올바른 사실들과 밀접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그러한 연관성이 그 주장의 참됨을 더욱 강화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❺ 적절함

어떤 주장이 적절하다는 것은 그 주장이 현안 문제와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❻ 중요함

적절성의 기준이 소극적 기준이라면 중요함의 기준은 적극적 기준에 해당한다. 즉, 적절한 개념이나 정보, 문제라고 해서 모두 같은 정도로 중요한 개념이나 정보, 문제가 아니다. 피상적이지 않으면서 문제 해결에 꼭 필요한 개념 등인지를 따져야 한다.

❼ 충분함

중요한 자료나 논점, 결론, 주장, 개념 등이 거론되어야 하지만 그렇다고 몇몇 자료나 주장에만 집중되어서는 안 된다. 논제나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서 필요한 자료나 주장 등은 빠짐없이 거론되어야 한다.

❽ 폭넓음

문제를 외골수로 파악하지 않고 다양한 관점에서 파악하는 것이 폭넓은 사고에 해당한다.

❾ 깊이

문제를 피상적으로 다루지 않고 그 복잡한 내적 관계를 모두 고려하는 것이 깊이 있는 사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