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회귀모형의 내생성(Endogeneity)은 추정량의 편의(bias) 를 발생시키거나 추정량의 불일치성(inconsistency) 을 초래한다. 구체적으로
의 회귀모형을 보자. 여기서 이고, , 및 라고 하자. 또한
이라고 하자. 내생성이란 독립변수와 오차항 사이에 상관관계가 존재한다는 것으로,
로 표현된다. 또는
로도 표현할 수 있다. 이기 때문.
내생성이 문제가 되는 경우
크게 아래와 같다.
- 측정오류(measurement error)가 있는 경우
- 유의미한 변수의 생략(omitted variable)이 존재하는 경우
- 선택편향(selection bias)이 존재하는 경우
- 변수가 동시에 결정되는 경우(sinultaneous equation) → 식별문제
내생성 문제의 해결
- GMM(또는 도구변수)을 사용
- DID, LATE, 사용 가능하다면 RCT, 등을 사용